728x90
반응형

기본 설정

1. 포톤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고 계정을 생성한다.

 

2. 포톤 사이트우측 상단에 있는 사용자 아이콘을 눌러서 public cloud -> your application으로 간다.

 

3. 어플리케이션 ID를 복사한다.

4. unity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든 후 asset store에서 photon pun2(free) asset을 import 하고 PUN wizard에 3번에서 복사한 본인의 애플리케이션 ID를 입력한다.

5. Project -> Assets -> Resources -> PhotonServerSettings에 App ID Realtime에 자신의 ID가 입력되어 있으면 기본 설정은 끝이다.

다중접속 실현

아래 유튜브 더보기에서 유니티 프로잭트랑 스크립트를 가져와 Unity로 프로젝트를 연다.

https://www.youtube.com/watch?v=mPCNTi3Booo&t=8s

NetworkManager.cs 스크립트에서 접속 인원을 설정과 코드를 수정할 수 있으며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 영상에서 해준다.

Unity를 Build and Run 시키면 2D로 멀티 접속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IT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로 로그인 씬 생성 및 구현 (Oculus Go 맞춤)  (0) 2021.01.27
[Unity] 버튼 생성하기  (0) 2020.11.24
Unity 교실 가상 환경 구축  (0) 2020.11.24
728x90
반응형

로그인 씬 만들기

1. Unity에서 새로운 씬을 생성한 후 이름을 LoginScene 으로 설정하고 저장한다.

 

2. 배경으로 쓸 이미지를 준비하고(png, bmp 등) Project에 있는 Resources 파일에 저장한다.

 

3. Resources 폴더에 저장해둔 이미지를 클릭하고 우측 상단에 있는 Texture Type을  Sprite로 변경해준 후 Apply를 누른다.

배경이미지 예시

4. Hierarchy에서 UI -> Image를 생성하고 Image를 누른 후 이미지가 화면에 꽉 차도록 Anchor를 alt버튼을 누르고 가장 오른쪽 아래(상하좌우 strech)에 있는 것을 클릭한다.

 

5. 내가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Source Image에 가져다 놓는다.(드래그 앤 드롭)

6. 3D로 되어있는 화면을 2D로 편하게 보기위해 Persp를 Iso로 변경 후 다시 back으로 바꿔준다.

7. Hierarchy에 Image라고 쓰인 부분을 Backgroud로 변경해준다.(알아보기 편하라고ㅎㅎ)

 

8. Canvas에서 UI -> Text를 생성한 후 이름을 Text_StudentNumber라고 지정해준다. Text에는 학번이라고 적어주고 클자 크기, 위치 등과 같은 나머지 설정은 아래 그림과 같이 해준다.

9. Canvas에서 UI -> Input_Field(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표시해주는 영역)를 추가한 후 8번에서 적은 학번 옆에 위치시켜준다.

Input_Field에 보면 Placeholder와 Text 두개가 있는데 Placeholder는 위 그림의 학번 입력처럼 유저가 값을 입력하기 전 들어가있는 글자이고 Text는 유저가 실제로 입력한 값이 들어가는 부분이다. Placeholder에 Text를 학번 입력으로 바꿔준다. Input_Field라는 부분 역시 Input_StudentNumber로 이름을 바꿔준다.

 

10. Canvas에서 Create empty로 빈 게임 오브젝트를 생성한 후 이름을 StudentNumber_Field로 바꿔주고 Text_StudentNumberInput_StudentNumber StudentNumber_Field 안으로 드래그 앤 드랍 해준다.

11. StudentNumber_Field를 ctrl + c, ctrl + v한 후 학번 아래로 위치시키고 이름을 Password_Field, Text_PasswordInput_Password로 바꿔준다. 이후 택스트에 있는 값을 비밀번호, 비밀번호 입력으로 바꿔준다. 여기까지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Text_Title은 이따가 아래에서 설명 예정...

12. InputField_StudentNumber를 클릭하고 우측 설정을 아래 그림과 같이 맞춰준다.

Character Limit은 InputField에 들어갈 최대 글자 수를 지정해주는 기능인데 여기서는 10으로 한다. Line Type은 Single Line으로 하여 글자가 한줄로 계속 입력되도록 만들어주고, Caret Blink Rate는 사용자가 값을 입력할때 커서의 깜빡이는 속도를, Caret Width는 커서의 굵기를 정해주는 기능이다. 그 외 기능은 개인적으로 찾아보는걸로...ㅎㅎ

InputField_Password도 마찬가지로 설정을 아래와 같이 바꿔준다.

이때 Content Type을 Password로 하면 사용자가 값을 입력할때 그 값들이 ***** 모양으로 나오게 된다.

 

13. 로그인 버튼을 만들기 위해 Canvas에서 UI -> Button을 클릭해준다. 버튼 사이즈와 위치를 조절해주고 버튼의 이름을 Button_Login으로 설정해주고 안에 있는 Text를 아래 그림과 같이 만들어준다.

14. 화면의 제목(이름)과 상태메시지를 나타내주기 위해 Canvas에서 UI -> Text를 2개 만든다. 하나는 이름을 Text_Title, 나머지 하나는 Text_Message로 해준다. 위치와 글자 크기 등을 조절해준다. 그러고 나면 아래 그림과 같은 로그인 씬이 만들어지게 된다.

 

 

 

728x90
반응형

'IT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에서 PUN2를 이용한 간단한 멀티 접속  (0) 2021.01.27
[Unity] 버튼 생성하기  (0) 2020.11.24
Unity 교실 가상 환경 구축  (0) 2020.11.24
728x90
반응형

*Unity의 기본 조작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한 문서입니다.*

1. Hierarchy Tab - MainScene위에 또는 버튼을 올리고 싶은 Canvas나 Panal에 마우스를 올려 오른쪽 마우스 클릭(Scene이름이 mainscene일 경우) - GameObject - UI - Button을 선택하여 버튼을 생성한다.

 * Button 이름은 꼭 알아보기 쉬운 다른 이름으로 변경한다. On Click 함수 지정 시에 객체 자신을 선택해야 하는데 다 Button으로 되어있으면 알 수 없다.  

 * Canvas가 없을 경우 Canvas가 자동 생성되어 하위에 버튼이 생성될 것이다. 버튼은 2D이므로 이를 얹기 위한 도화지 개념이니 당황하지 말 것.

  * 생성해둔 객체들과 달리 Canvas와 Buttun은 Scene상에서 굉장히 크게 생성되지만 In game에서는 정상적인 위치로 보이니 Play해보아 Game Tab에서 카메라에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가며 제작한다. UI객체의 공통적인 특성이다.

 

2. 스크립트 생성 - Button 동작 함수 코드 작성

 위 사진은 내 프로젝트에서 버튼이 수행할 함수를 작성했던 코드이다.

 

버튼 함수를 짤 때 함수 이름은 임의로 해도 되지만 되도록이면 목적이 들어나도록 ~~~onClick 처럼 함수 이름을 짜면

다음 차례에서 버튼에 함수를 지정할 때 알아보기 편하다.

 

*코드를 다 작성하면 꼭 ctrl+s한다. 저장안해서 버튼에서 함수 지정할 때 안뜨는 일이 종종 있다.

 

3. 생성했던 버튼 객체에 2번에서 생성한 스크립트 추가

4. 버튼 객체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생성된 Buttin Script에 On Click()이라는 블럭이 List is Empty로 비어 있을 것이다. 블럭의 오른쪽 아래의 +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된다.

+ 클릭 전
+ 클릭 후

 

5. None (Object)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 - Select Object 창이 뜨면 두 번째 탭인 Scene 클릭 - 기능을 삽입하고 싶은 버튼(현재 작성하고 있는 버튼이겠죠)을 선택.

 

6. 버튼 객체를 정상적으로 선택하고 On Click 박스의 No Function을 클릭하면 아까 삽입한 스크립트의 이름이 있을 것이다.

No function - (내가 작성한 스크립트 이름) Button_Start_Game - (2번에서 작성한 함수 이름)  Start_Game_Scene 클릭

 

7. 1~6번까지 잘 따라했다면 버튼에 함수가 정상적으로 지정된 것이다. Play를 하여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Asset Store에서 school 에셋 임포트

 

2. Asset - school - Demo scene 에 위치하는 New scene 1에 구축되어 있는 클래스 중에 마음에 드는 공간 골라서 customizing

 

3. 인물 에셋 임포트해서 괜찮은걸로 골라서 앉히기

 

4. 짜잔

 

728x90
반응형

'IT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로 로그인 씬 생성 및 구현 (Oculus Go 맞춤)  (0) 2021.01.27
[Unity] 버튼 생성하기  (0) 2020.11.24
Unity Oculus Go 맞춤 프로젝트 생성  (0) 2020.11.24
728x90
반응형

1. Unity 버전 2019.2.17으로 3D 새 프로젝트 생성

2. File - Build Setting 에서 Android로 switch platform 한다. (캡쳐된 화면은 switch된 상태)

3-1 Edit - Project setting - Player - other setting -Graphic APIs에서 vulkan 삭제(있는 상태로 안드로이드 빌드하면 오류남)

3-2 동일하게 other setting에 위치하는 Identification에 minimun version과 targer version을 본인이 가지고 있는 sdk에 적합하게 변경

3-3 Player - XR settings 에서 Virtual Reality Supported를 체크 후 Virtual Reality SDKs 에서 Oculus 추가

4. Asset Store 에서 oculus integration 임포트

4-1 상단에 생긴 Oculus - tools - oculus platform tools 에서 targert oculus platform을 oculus go|gear VR로 변경

 

5. 카메라 셋팅

 - main camera를 삭제하고 Assets - Oculus - VR - Prefebs 에 있는 모듈들을 활용해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끝.

자세한건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

https://bradbury.tistory.com/105

728x90
반응형

'IT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로 로그인 씬 생성 및 구현 (Oculus Go 맞춤)  (0) 2021.01.27
[Unity] 버튼 생성하기  (0) 2020.11.24
Unity 교실 가상 환경 구축  (0) 2020.11.24

+ 최근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