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Typescipt
Typescript 프로젝트 설정
1am_wish
2022. 11. 6. 20:20
728x90
반응형
- directory 생성
- %npm init -y
- package.json
- main 제거
- 개발환경에서 build와 번거로움 없이 ts실행을 위해 ts-node 와 nodemon 설치
- npm i -D ts-node / npm i nodemon
- src 디렉터리 생성하고 그안에 index.ts 생성
- %touch tsconfig.json
- tsconfig.json가 있음으로써 vscode는 ts 프로젝트를 한다는 것을 정의 -> ts 관련 자동완성을 제공함
- ts 코드의 위치, 컴파일러 옵션(컴파일 결과 js 저장 위치, 컴파일 할 js 버전 등) 등을 작성함
{
"include": ["src"], // ts code 위치
"compilerOptions": {
"outDir": "build", // 컴파일 결과인 js가 저장될 위치
"target": "ES6", // 컴파일 결과인 js의 버전
"lib": ["ES6", "DOM"], // js가 동작하는 환경. front처럼 브라우저에서 작동한다면 "DOM". 즉 target runtime environment
"strict": true, // js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를 쓸 때, 타입을 설명해둔 declation file(~~~.d.ts을 참고하여 타입 checking
"allowJs": true, //d.js처럼 타입의 명시가 없는 경우에도 typescript가 타입을 추론하여 Call signature를 작성. js와 ts가 섞인 프로젝트가 가능
}
}
{
"name": "typechain",
"version": "1.0.0",
"description": "",
"scripts": {
"build": "tsc",
"dev": "nodemon --exec ts-node src/index.ts",
"start": "node build/index.js"
},
"keywords": [],
"author": "",
"license": "ISC",
"devDependencies": {
"@types/node": "^18.11.9",
"ts-node": "^10.9.1",
"typescript": "^4.8.4"
},
"dependencies": {
"nodemon": "^2.0.20"
}
}
728x90
반응형